비 오는 날의 낚시
비 오는 날 아침이었다. 텐트 천막을 두드리는 빗방울 소리에 눈을 떴을 때, 세상은 이미 축축하게 젖어 있었고, 저수지는 마치 새벽의 감정을 고스란히 머금은 듯 고요하고 축 늘어져 있었다. 평소보다 한층 더 묵직하게 다가오는 공기 속에서 나는 마치 오래전 잊었던 기억의 한 조각을 꺼내듯 낚싯대를 꺼냈다. 낚시는 그런 것이다. 늘 똑같은 동작과 반복이지만, 날씨 하나, 바람 하나, 마음 하나만 달라져도 전혀 다른 하루가 된다. 그날의 비는 그렇게 나를 오래된 시간으로 데려갔다. 낚시터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옷자락이 젖어 있었고, 발밑의 흙은 신발을 붙잡듯 끈적거렸다. 하지만 나는 이상하게도 그 젖음이 싫지 않았다. 오히려 낡은 감정들이 비를 타고 몸속 깊은 곳에서 천천히 우러나오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물비린내와 젖은 흙내음, 우중충한 하늘 아래 출렁이는 물결, 낚시터를 가득 채운 침묵. 이 모든 것이 오히려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었다. 빗소리는 외로움을 덮어주는 담요 같았다. 어느새 낚싯대를 드리우고 찌를 바라보고 있는 나 자신이, 꽤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고 있었음을 깨달았다. 비는 그치지 않았다. 오히려 조금 더 굵어졌고, 낚싯대 끝으로 떨어진 빗방울이 물속 찌의 파장을 어지럽혔다. 나는 찌의 움직임을 쫓다가 어느 순간부터는 내 생각의 움직임을 따라가고 있었다. 아마 그건 단순한 낚시가 아니었을 것이다. 그날 나는 물고기를 기다리는 사람이 아니라 내 안의 무언가를 마주하고 싶었던 사람에 가까웠다. 기다림이라는 행위는 낚시에서 필수지만, 비 오는 날의 기다림은 좀 다르다. 더 고요하고, 더 깊다. 낚시라는 것이 본디 움직임의 미학이라면, 비 오는 날 낚시는 정지의 철학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 그 시간들이, 오히려 마음속에는 가장 많은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나는 그날, 오랜 시간 아무 말 없이 앉아 있었다. 주변에서 들려오는 소리는 단지 빗방울과 간헐적인 물새 소리뿐이었고, 낚시터에 나와 같은 사람은 보이지 않았다. 모두가 비를 피하고 있을 때, 나는 비 안으로 들어갔다. 이상하리만치 따뜻한 고독이 있었다. 문득 학창 시절, 나 혼자 우산 없이 걷던 빗속 골목길이 떠올랐다. 그땐 왜 그렇게 비를 맞으며 걷는 일이 좋았을까. 우산을 펴는 건 누군가에게 나를 숨기는 일처럼 느껴졌고, 비를 맞는 건 나를 그대로 드러내는 행위 같았다. 낚시도 그렇다. 고기를 잡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그 기다림 속에서 나를 들여다보는 것이다. 그날은 찌가 한 번 크게 잠겼다. 낚싯대를 챘지만 헛챔질이었다. 바늘 끝에 미끼만 없어진 채 돌아왔다. 아쉽지 않았다. 오히려 그 순간, 내 마음의 어떤 무게가 사라지는 듯했다. 찌가 잠기는 그 찰나, 내 안에 쌓였던 감정 하나가 물속으로 가라앉았고, 헛챔질은 그것을 떠나보내는 동작 같았다. 비는 쉬지 않고 내렸다. 나는 우비도 없이 그 자리에 계속 앉아 있었고, 내 몸은 점점 무거워졌지만 마음은 오히려 가벼워졌다. 사람들은 종종 낚시를 이해하지 못한다. 고기를 못 잡으면 시간 낭비 아니냐고 묻는다. 하지만 낚시는 고기를 낚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낚는 것이다.
젖은 세월을 끌어올리는 시간
그리고 그 시간 속에서 잊고 지냈던 나를 낚아올리는 것이다. 특히 비 오는 날의 낚시는, 그 시간의 무게가 다르다. 마치 세상의 모든 소리가 묵음 처리된 듯 조용하고, 세상의 색감도 채도를 낮춘 듯 희미하다. 그런 날에는 감정도 색이 옅어진다. 너무 진하지 않아서 되려 오래 바라볼 수 있는 색이 된다. 그래서 비 오는 날 낚시는 내게 언제나 특별하다. 그날 저수지를 둘러보며 나는 마음속으로 몇 번이고 중얼거렸다. 이 시간이 흘러가도 괜찮다고, 지금 이 젖은 풍경도 언젠가 내 안의 풍경이 되어줄 거라고. 그렇게 나는 낚시터에 한참을 더 앉아 있었다. 결국 그날 한 마리도 잡지 못했다. 빈 손으로 돌아가는 길, 비는 여전히 내리고 있었고, 차창 너머로 흐릿하게 지나가는 풍경들은 마치 내 마음속의 잔상 같았다. 하지만 나는 이상하게도 충만했다. 비는 나를 적셨고, 낚시는 나를 비워냈다. 그리고 그 비워진 자리에 비로소 무언가가 채워졌다.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감정, 존재의 무게 같은 것. 그러니 누군가 내게 다시 묻는다면, 왜 그런 날 굳이 낚시를 가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가만히 젖는다는 것이 얼마나 깊은 사유의 시간이 되는지를 알게 된다면, 비 오는 날의 낚시가 얼마나 특별한지, 그 누구도 쉽게 묻지 않을 거라고. 젖은 세월을 끌어올리는 시간이 아닐까? 그리고 언젠가, 그들도 그런 날 낚시터에 앉아보게 될 거라고. 물비린내가 익숙해지고, 바람이 감정을 감싸는 법을 알게 되는 그 순간, 낚시는 단순한 취미를 넘어, 삶의 한 장면이 될 테니까.